-
예브게니 프리고진 핵무기 탈취 반란 이유 나이 국적 푸틴 망명 행방카테고리 없음 2023. 8. 24. 11:09
러 용병수장 프리고진 사망한듯…"바이든, 푸틴 배후 추정"
- 2023. 8. 24
러시아 스브 트레비 지역에 추락한 개인여객기 탑승명단에 용병기업 바그너그룹의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이 포함돼 있다고 로이터 및 러시아 관영 타스 통신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배후일 가능성을 시사했다고 CNN은 전했답니다.
러시아 재난 당국은 이날 텔레그램을 통해 “모스크바에서 상트페테르부르크로 향하던 엠브라에르 레가시 제트기가 서부 트레비 지역의 쿠젠키노 마을 주변에 추락했다”고 밝혔다. 이어 “초기 조사 결과 승무원 3명을 포함해 탑승객 10명 전원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관영매체 러시아24는 현재 추락현장에서 시신 8구가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추락항공기는 엠브라에스사(社)의 ‘레거시’ 기종으로 전해진다. 타스통신은 탑승자 명단에는 지난 6월 푸틴 대통령을 비롯해 군 지도부에 대항해 무장반란을 일으켰던 프리고진도 포함돼 있다고 보도했다. 다만 프리고진이 실제로 탑승했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타스통신은 “승객 명단에 프리고진의 이름과 성이 포함돼 있다고 러시아항공사인 로사비아티아가 밝혔다”고 전했다.
프리고진은 지난 6월23일부터 이틀간 러시아 최고 군 간부들에 대한 불만에 반란을 주도했던 인물이다. 다만 협상을 통해 프리고진은 벨라루스로 옮기기로 하고 별도의 기소를 하지 않기로 하면서 반란은 멈췄다. 이후 프리고진은 수차례 벨라루스와 러시아를 옮겨다녔다. 하지만 백악관 고위공무원들은 프리고진이 언제든 암살을 당할 수 있다고 수차례 경고한 바 있답니다.
프리고진은 지난 21일에는 텔레그램을 통해 위장복을 입고 소총을 든 채 아프리카 사막에 있는 모습을 공개했다. 그는 “바그너 민간용병기업은 모든 대륙에서 러시아를 더욱 위대하게 만들고 아프리카를 더 자유롭게 만든다”고 말했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이번 비행기 추락과 관련 보고를 받았다. 바이든 대통령은 CNN에 지난 7월에 한 발언을 언급하며 “기억할지 모르겠지만, 저는 프리고진이 실패한 반란과 관련해 그의 안전을 걱정해야 한다고 말했다”며 “저는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사실은 모르지만, 놀랍지 않습니다”고 말했다.
아드리엔 왓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대변인은 “보고서를 봤지만, 프리고진 사망 가능성은 푸틴 대통령의 과거 행적을 봤을 때 그 누구도 놀라지 않을 것”이라며 “우크라이나 전쟁은 모스크바로 향하는 민간 군대로 이어졌고, 지금은 이렇게 된 것 같다”고 언급했답니다.
푸틴이 ‘식겁’한 진짜 이유?…“프리고진, 반란 때 핵무기 훔치려 했다
- 2023. 7. 11
러시아 민간군사기업(PMC) 바그너그룹이 지난달 말 일으킨 ‘1일 쿠데타’로 전 세계가 깜짝 놀란 가운데, 바그너그룹의 ‘목표’가 러시아 당국의 ‘핵배낭’이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로이터 통신은 10일(이하 현지시간) 보도에서 러시아 현지 주민들의 증언 및 동영상 등을 바탕으로, 바그너 그룹이 수도 모스크바로 전진하는 과정에서 일부 병력이 보로네시-45 기지로 향했다는 사실을 확인해다고 밝혔답니다.
지난달 24일, 바그너 그룹은 반란을 선언하고 로스토프나도누에서 출발해 북쪽으로 이어지는 M-4 고속도로를 따라 전진했다. 이들의 목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있는 모스크바로 알려져 있었지만, 반란에 가담한 바그너 용병단의 분단 일부가 이 경로에서 이탈했다는 것이 로이터 통신의 주장이다.
로이터는 “M-4 고속도로를 따라 전진하던 분대 일부가 이탈해 보로네시-45 기지 방면으로 향했다. 이 분대는 보로네시-45 기지에서 약 100㎞ 떨어진 곳까지 도달했다”고 전했다.
바그너 그룹의 분단 일부가 이탈해 향한 보로네시-45 기지는 핵무기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군사기지다. 즉 바그너 그룹이 모스크바에 입성해 러시아군 장성들을 노린 동시에, 러시아군의 핵무기를 탈취하려 했다는 것이랍니다.
우크라이나 측도 이 같은 주장에 힘을 싣는 발언을 내놓았다.
키릴로 부다노우 우크라이나 국방부 군사정보국 국장은 “바그너 그룹 일부 부대가 보로네시-45 기지에 도달한 것이 사실이며, 이들은 핵배낭을 탈취하려 했다”면서 “그러나 바그너 분대는 핵 저장고의 문을 결국 열지 못했다”고 전했다.
이어 “마지막 한 사람이 남을 때까지 싸울 준비가 되어 있었다면, (핵무기가 있는) 보로네시-45 기지는 ‘판돈’을 크게 올릴 수 있는 시설 중 하나였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러시아 크렘린궁(대통령실) 내부에서도 유사한 언급이 나왔다. 크렘린궁의 한 소식통은 로이터 통신에 “바그너 전투원들은 ‘특별 관심 지역’에 들어갈 수 있었다”면서 “그곳에는 핵무기가 있기 때문에 미국이 동요했다”고 말했답니다.
또 다른 소식통은 “바그너 분대가 보로네시-45 기지를 향해 이동한다는 소식이 러시아 당국의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이는 쿠데타 당일 저녁, 러시아가 벨라루스의 도움을 받아 반란을 급하게 무마하게 된 계기가 됐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보도와 주장에 대해 애덤 호지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우리는 해당 보고에 대해 확신할 수 있는 게 없다”며 말을 아꼈다.
다만 미국 등 서방국가는 “신속하고 불가사의하게 끝난 반란 동안, 러시아의 핵 비축량이 위험에 처한 적은 없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바그너 그룹이 실제로 핵무기가 있는 부대에 도달했다 할지라도, 실제 핵무기를 탈취하는 것을 불가능했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답니다.
미국 과학자연맹의 핵 정보 프로젝트 매니저이자 선임 연구원인 매트 코르다 박사는 “러시아군의 핵 보안을 뚫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면서 “바그너 그룹은 수천 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그들 중 누구도 핵무기 사용법을 알지 못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핵무기를 손에 넣을 수 있는 사람이 있었다 해도, 그들은 불완전한 조립상태로 보관된 핵무기를 손에 넣었을 것”이라면서 “특수 장비를 설치하고 제한되어 있는 링크를 해제해야하며, 이를 위해서는 러시아의 핵무기 보호를 담당하는 12곳의 담당 부서가 협력해야 한다”고 전했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