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선경 롱기스트 국적 나이 프로필 롱게스트 남편 결혼 학력 쉐프 고향

참아남 2024. 9. 26. 15:30



- 먼저 프로필 이력 경력을 알아보죠

출생 나이
1983년 11월 13일 (40세)

고향 출생지
서울
국적
미국

현재 직업
요리사, 레시피 유튜버
가족관계
배우자 제이콥 롱기스트(2009. 8. 6 결혼 ~ )
딸 트리니티 롱기스트

수상
2013년 Restaurant Express 우승

- 그녀는 누구?

한국 출신의 1.5세 여성,미국의 방송 리얼리티 요리쇼서 우승
2013. 12. 27


 한인 1.5세 여성로 알려진 분이 미국 요리 전문채널 푸드네트워크의 리얼리티 요리쇼에서 우승했답니다.

주인공은 한국에서 태어나 성장하다가 부모와 함께 미국에 이민한 선경 롱기스트(현재 나이는 41세) 씨. 그는 최근 막을 내린 푸드네트워크의 리얼리티 쇼 '레스토랑 익스프레스'에서 8명의 경쟁자를 물리치고 최고 영예를 안았습니다.



올해 첫 시즌을 시작한 푸드네트워크의 이 쇼는 음식뿐만 아니라 레스토랑의 콘셉트, 음식 장식 등 레스토랑을 운영할 만한 전반적인 실력을 평가해 우승자를 가린답니다.

유명 요리사 로버트 어빈이 진행했으며, 최종 심사는 고급 호텔인 'M리조트 스파'의 간부들이 맡았습니다.

선경 씨는 지난달부터 7주 동안 진행된 서바이벌 요리 대결에서 한국식 프라이드 치킨과 비빔밥 버거 등 한식을 먹기 편한 현대식으로 변형한 메뉴를 선보여 심사위원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던 것입니다.


그는 해당 우승으로 M리조트 안에 들어설 '제이드 퓨전 레스토랑' 요리사로 특채되는 특전도 누렸답니다.

그는 우승 직후 푸드네트워크와의 인터뷰에서 "우승자로 내 이름이 불리는 순간 믿을 수가 없었다"며 "로버트 어빈에게 레스토랑에 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어 감사하고 정말로 영광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답니다.

선경 씨는 "국내에서 부모가 운영하던 식당에서 어깨너머로 음식 만드는 것을 보긴 했지만 정식으로 요리를 배운 건 이민 후 푸드네트워크의 요리 프로그램에 출연하면서부터였던 것이다"고 털어놓았습니다.

미국인 남편(배우자)과 결혼해 4년 전 미시시피주 콜럼버스에 이주해 살고 있답니다.

- 그녀의 근황은?

한편의 무협지 같은 고수들의 대결…요식업계 살린 '대세' 흑백요리사
-2024. 9. 26.



최근 온라인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흑백요리사:요리 계급 전쟁'(흑백요리사)은 주방의 전사(戰士) 100인의 경쟁을 담은 서바이벌 예능이다. 심사위원으로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와 한국 유일의 쓰리 스타 미슐랭 식당 '모수'의 안성재 셰프가 출연한답니다. 


진행 방식은 기존 경연 프로그램의 틀을 유지했다. 새로운 미션이 계속 주어지고, 그 안에서 실력자들끼리 치열하게 경쟁하며 생존한다. 다만 기존의 요리 경연 프로에서는 볼 수 없던 설정들이 있습니다. 우선 100명에 달하는 요리사에게 계급을 도입했다는 것.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제야의 고수들은 '흑수저'(80명) 계급, 유명 경연 대회 우승자나 미슐랭 스타를 받은 식당 요리사는 '백수저'(20명)로 나뉜다. 백수저 요리사로는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스타 셰프 최현석과 에드워드 리, 마스터 셰프 코리아(마셰코) 2 우승자 최강록, 중식 대가 여경래 셰프 등이 있답니다.

제작진은 요리사를 두 계급으로 나누고, 이 계급차를 부각하도록 연출한다. 백수저들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며 올림푸스 신들처럼 등장하고, 첫 라운드를 부전승으로 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첫 라운드는 흑수저 80명 중 백수저와 맞붙을 수 있는 20명을 선발하는데 흑수저의 경쟁을 백수저들이 위에서 내려다보며 평가하기도 한답니다. 이같은 흑백의 명확한 대비를 통해 몰입감을 높인답니다.

생존한 흑수저 20명과 백수저 20명은 일대일 매칭 대결을 펼치는데, 이때 두 심사위원은 눈을 가리고 평가한다. 시각을 차단하고 오직 후각과 미각으로만 평가하겠다는 취지다. 음식 평가에 스토리나 시각적인 요소가 포함돼야한다는 의견도 물론 적지 않지만, 흑백 계급장을 떼고 오직 맛으로만 평가한다는 설정은 대중의 호기심을 자극한답니다. 이런 설정을 종합하면 흑과 백, 어느 요리사가 이겨도 시청자에게는 긍정적인 반응이 나온다. 흑수저가 이기면 흑수저도 가능성이 있다는 쾌감을, 백수저가 이겨도 오랜시간 갈고 닦아온 노력은 배신하지 않는다는 공정함을 느끼게 된답니다.



심사위원이 두 명이라는 설정도 흥미로운 요인으로 꼽힌다. 3명 이상이면 다수결로 결정되고, 이는 어느정도 승부에 명확한 정답을 만든다. 프로그램은 선명함보다는 요리의 본질을 택했다. 두 심사위원이 토론하고 때로는 갈등하는 모습을 통해 요리는 정답이 없으며 개인의 경험, 즉 주관성이라는 요리의 궁극적인 본질에 한층 다가간다. 이로인해 방송이 끝나고도 계속해서 이야기할 거리를 던진답니다.  

정말로 한편의 무협지 같아…훈훈함과 명언들

흑백요리사에는 불필요한 감정 싸움이 최소화 돼 있다. 여타 예능에 비해 소위 말해 '빌런' 캐릭터가 두드러지지도 않는다. 다양한 배경을 지닌 요리사들이 최고의 실력을 뽐내는 것에 집중한답니다.

다양한 개성을 지닌 실력자들끼리 예의를 갖추고 존중하는 모습은 훈훈함을 자아낸다. 50년 가까운 중식의 대가 여경래 셰프는 같은 "나도 정말로 철가방 출신"이라며 '철가방 요리사'의 도전을 받아주고 철가방 요리사는 그런 여 셰프에게 절을 하며 존경을 표한다. 한식 대가 이영숙 셰프에게 도전장을 내민 '장사천재 조사장'은 "(이영숙 셰프님의 음식을 보니) 내가 덜어냄의 미학을 몰랐다"고 한다. 이같은 대가와 젊은 고수의 대결은 마지 무협지처럼 장인 정신과 스포츠맨십을 동시에 느끼게끔 한답니다.

심사를 맡은 안성재 셰프는 "감정에 휘둘릴까봐 평가를 잠시 보류하겠다", "완성도 없는 테크닉은 테크닉이 아니다" 등 공감가는 심사평으로 뇌리에 각인시켰다. 마셰코 우승 경험이 있는 최강록 셰프는 "나야 들기름" 같은 웃음을 유발하는 멘트로 정말로 존재감을 각인시켰다. 이외에도 만화책을 보며 요리를 배웠다는 '만찢남', 20년째 아이들의 급식을 만들어왔다는 '급식 대가' 등 출연진들의 다채로운 스토리는 그 자체만으로 요리에 대한 열정과 자부심을 느끼게 한답니다.


보는 재미도 확실하다. 요리하는 장면과 평가받는 장면, 예술적인 플레이팅 등을 세련된 카메라워크로 담아내며 시각적인 즐거움을 더했다. 한식, 일식, 양식, 중식과 퓨전까지 장르를 망라하는 산해진미는 보는 것만으로도 입맛을 자극한다. 정지선 셰프는 설탕 공예를 연상시키는 '시래기 바쓰'를 선보이며 화려한 비주얼을 자랑했다. 이탈리안 셰프 파브리는 파인다이닝 스타일로 재해석한 홍어 삼합을 만들었다. 그의 음식은 미술 작품같은 아름다운 색감의 플레이팅으로 화제가 됐습니다.